| | ▲ 1949. 3. 제5차 소련 최고회의에 참석한 김일성(오른쪽 끝)과 박헌영(김일성 바로옆 안경쓴 사람) | | ⓒ2004 NARA | |
| | ▲ 1945. 8. 평양 붉은 광장에서 젊은이들이 스탈린과 김일성을 환호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49. 9. 6. 미군사고문단이 국방경비대에서 기관총 훈련을 지도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7. 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파병안을 통과시키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8. 미군 포로들이 서울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8. 원산, 북한군 선전 벽보. | | ⓒ2004 NARA | |
| | ▲ 1950. 9. 16. 인천상륙 적전 후 텅빈 시가지에서 한 소녀가 울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1. 21. 압록강변의 혜산진까지 올라간 국군과 유엔군. | | ⓒ2004 NARA | |
| | ▲ 1950. 12. 3. 평양, 부서진 대동강 철교를 넘어 남하하는 피난민 행렬. | | ⓒ2004 NARA | |
| | ▲ 1950. 12. 9. 중공군의 참전으로 혹한 속에 후퇴하는 유엔군. | | ⓒ2004 NARA |
| | ▲ 1950. 9. 27. 전주. 학살된 시신의 사진만 남아 있고 가해자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다. 구천을 헤매는 그들의 원혼에 묵념을 드린다. | | ⓒ2004 NARA | |
| | ▲ 1950. 9. 27. 전주. 우리 아버지는 어디에 계실까? | | ⓒ2004 NARA | |
| | ▲ 1950. 9. 29. 충주. 마을 주민들이 학살의 현장을 파서 시신을 확인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9. 30. 진주. 한 소년이 씨레이션 상자를 조심스럽게 들여다 보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0. 10. 함흥 부근의 한 동굴에서 300여 명의 시신을 꺼내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0. 10. 함흥. 가족을 찾아 헤매면서 울부짖는 아낙네들 | | ⓒ2004 NARA | |
| | ▲ 1950. 10. 13. 함흥. 우물에서 학살된 시신을 건져 올리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0. 19. 함흥. 시신더미에서 가족을 찾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0. 19. 함흥. 지아비의 주검 앞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 | ⓒ2004 NARA | |
| | ▲ 1950. 10. 19. 함흥. 학살에는 남녀가 없었다 | | ⓒ2004 NARA | |
|
| | ▲ 1950. 9. 30. 전화(戰禍)로 폐허 가 된 대전역 | | ⓒ2004 NARA | |
| | ▲ 1950. 11. 24. 불타버린 서울역 앞 세브란스 병원 | | ⓒ2004 NARA | |
| | ▲ 1950. 10. 7. 불타고 있는 김포 비행장 | | ⓒ2004 NARA | |
| | ▲ 1950. 10. 18. 전화에 그을린 중앙청 | | ⓒ2004 NARA | |
| | ▲ 1950. 10. 18.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멀리 북악산과 중앙청 돔이 보인다. | | ⓒ2004 NARA | |
| | ▲ 1950. 9. 20. 왜관, 낙동강 철교 복구 공사 | | ⓒ2004 NARA | |
| | ▲ 1950. 10. 12. 미조리호 군함에서 청진항을 향해 함포사격을 가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0. 20. 400여 명의 낙하산부대가 평양부근에 투하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2. 18. 북한군에게 뿌린 귀순 권유 전단 | | ⓒ2004 NARA | |
| | ▲ 1950. 11. 2. 적십자사에서 피난민에게 구호물자를 나눠주고 있다 | | ⓒ2004 NARA
| | ▲ 1950. 10. 13. 경기도 파주, 참혹하게 학살된 시신들 | | ⓒ2004 NARA | |
| | ▲ 1950. 11. 1. 서울 중앙청 앞 지금의 문화관광부 자리, 주민들이 폐허더미에서 땔감이나 돈이 될만한 물건을 찾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1. 2. 원산의 한 성당, 폐허가 된 성당 내부를 신도들이 청소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탈곡한 볏단을 달구지에 싣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전란 중에도 추수를 하고 있다. 바람개비로 알곡을 가리는 농부들 | | ⓒ2004 NARA | |
| | ▲ 1950. 11. 19. 북한의 한 지하 무기 공장 내부 | | ⓒ2004 NARA | |
| | ▲ 1950. 11. 20. 국경지대, 미군들이 소달구지로 보급품을 운반하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비료공장 | | ⓒ2004 NARA | |
| | ▲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송전소 | | ⓒ2004 NARA | |
| | ▲ 1950. 11. 23. 함경도 갑산, 미군 폭격으로 성한 집이 드물다 |
| | ▲ 1950. 11. 1. 황해도 평산에 진격하는 유엔군을 두 여인이 전신주 뒤로 불안한 눈길로 바라보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2. 4. 평양을 떠나 대동강을 건너 후퇴하는 국군 | | ⓒ2004 NARA | |
| | ▲ 1950. 12. 6. 황해도 사리원, 남행하는 피난열차에 피난민들이 몰려들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2. 8. 경기도 금촌, 38선을 넘어 후퇴하는 유엔군 차량들. | | ⓒ2004 NARA | |
| | ▲ 1950. 12. 9. 끊어진 한강철교. | | ⓒ2004 NARA | |
| | ▲ 1950. 12. 10. 포화에 불타는 마을. | | ⓒ2004 NARA | |
| | ▲ 1950. 12. 12. 한강 부교를 통하여 후퇴하는 차량들. | | ⓒ2004 NARA | |
| | ▲ 1950. 12. 12. 피난민들이 한강을 나룻배로 건너고 있다 . | | ⓒ2004 NARA | |
| | ▲ 1950. 12. 12. 유엔군들이 인천항을 통해 장비들을 후송시키고 있다. | | ⓒ2004 NARA | |
| | ▲ 1950. 12. 12. 유엔군들이 후퇴하면서 다리를 폭파시키고자 폭약을 장치하고 있다. | | ⓒ2004 NARA |
| [출처: 오마이 뉴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