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객전도, 이 땅의 주인인 갓을 쓴 노인들은 전차를 피해 갓길로 가고 있다.
▲ 1950. 7. 27. 맨발의 한 소년이 지게에다 피난봇짐을 잔뜩 지고 있지만 표정이 매우 맑다.
▲ 1950. 7. 29. 안동군민들의 피난 행렬.
▲ 1951. 1. 9. 강릉, 1. 4 후퇴로 눈길에 다시 피난을 떠나고 있다.
▲ 1951. 4. 23. 중공군 춘계대공세로 다시 피난길에 오른 사람들.
▲ 1951. 6. 27. 다리 부상으로 소를 타고 피난길에 나서다.
▲ 1951. 7. 4. 철원, 군 트럭에 실려 피난을 떠나고 있다.
▲ 1951. 7. 19. 강원도 화천, 감자를 캐는 화전민 사람들을 수용소로 데려가고 있다.
▲ 1951. 9. 11. 경기도 동두천, 군인들의 통제 아래 피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 1951. 8. 20. 마곡리, 한 소년이 소를 몰고 피난길을 가고 있다.

▲ 1950. 10. 12. 원산. 학살된 시신들.
▲ 1950. 12. 11. 고단한 피난길.
▲ 1950. 12. 16. 폭격에 엿가락처럼 휘어진 철교.
▲ 1950. 12. 17. 보급품을 실은 화물 열차가 폭격에 불타고 있다.
▲ 1950. 12.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조리 잘 피해서 어예든동 살아오이라."
'어무이 걱정 꽉 붙들어 매이소. 어무이 아들 아잉기요. 내는 꼭 살아돌아올 깁니다."
▲ 1950. 12. 21. 경북 왜관. 낙동강 철교 어귀에 부서진 북한군 소련제 탱크.
▲ 1951. 1. 20. 아버지와 아들의 피난길, 다른 가족은 전란에 모두 죽었다.

▲ 1950. 8. 12. 북한군 포로.

▲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 1950. 7. 29. 경북 영덕, 포화에 쫓기는 피난민.

▲ 1950. 7. 29. 경북 영덕,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지향없이 떠나는 피난민 행렬.

▲ 1950. 7. 29. 경북 영덕, 논두렁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북한군 병사

▲ 1950. 7. 29. "뜨거운 전우애" 한 병사가 부상당한 전우를 업어가고 있다

▲ 1950. 7. 29. 마을 소년들이 주먹밥을 만들어 군인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 1950. 7. 29. 야간 전투 후 주간 취침.

▲ 1950. 7. 29. 취침 후 병기 손질

▲ 1950. 8. 4. 피난민들의 보금자리 산동네 판자촌

▲ 1950. 8. 8. 누가 이 아이를 버리게 했을까?

▲ 1950. 8. 8. 다리 아래 피난민 움막

▲ 1950. 8. 9. 임시 포로수용소

▲ 1950. 8. 2. 금강철교

▲ 1950. 8. 3. 뙤약볕 속에 전선으로 가는 국군 행렬

▲ 1950. 8. 3. 한국전쟁 무렵의 부산항, 멀리 영도가 환히 보인다.

▲ 1950. 7. 29. 경남 진주 부근에서 생포한 빨치산(?). 미국 문서원문엔 포로로 되어 있다.

▲ 1950. 12. 16. 흥남부두. 후퇴하려고 수송선을 기다리는 병사들

▲ 1950. 12. 18. 흥남에서 묵호(동해)로 후퇴한 후 수송선에서 내리는 병사들

▲ 1950. 12. 24. 유엔군 후퇴 후 텅 빈 흥남부두

▲ 1950. 12. 24. 유엔군 후퇴 후 불타는 흥남항

▲ 1950. 12. 26. 전차도 후퇴대열에. 흥남항에서 출발해 부산항에 도착하고 있다

▲ 1950. 12. 27. 인천항에서 출발해 부산항에 도착한 피난민들

▲ 1951. 1. 3. 1·4 후퇴를 앞두고 불타고 있는 서울 시가지
6.25 - 고향이 개성. 어린 시절 6.25를 당해서 할아버지,아버지를 잃었었고 가족들과 이산가족이 되어서 북한에 있는 가족들
생사조차 모른다. 이산가족 상봉신청했지만 종종무소식이다. 이산가족 상봉순서는 주로 북한에서 출세했거나,남한에서 돈을 많이
벌어 북한 가족에게 "돈뭉치"가되는 순서가 아닌가 한다. 젊은 분들중에 생활도 그리 넉넉한 것같지 않은데 소비를 무질서하게
하는 것을 보면,저래서는 안되는데 싶다.우리나라 보다 잘 살다는 미국,영국,일본 사람들도 검소하다.
2006/06/24 17:58:13 / coolhot 님
아침에 6.25 전쟁 사진첩을 보느라고 이영혜님 방에서 한참 있었죠.
난 어려서였지만 그 당시 서울에 있었기 때문에 전쟁을 직접 볼 수 있었습니다.
죽은 시신들 총을 쏘는 군인들 하늘에서의 공중전등
그러나 지금은 모두 잊혀 졌지만 공산주의의 위험과 해악은 영원히 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